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사는 지혜(교육 문화)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2 역설법, 반어법

by jiwoose 2025. 1. 15.
반응형

국어 문학을 공부하다보면 다양한 표현법이 쓰였는지 확인하는 문제를 만나게 됩니다. 이때 작품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표현법 개념이 자리잡혀 있어야 그와 같은 문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역설법과 반어법에 대해 정리해 드립니다.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2 역설법, 반어법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 역설법

 

역설법은 표면적으로는 모순되거나 부조리한 것 같지만, 그 표면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고 있는 표현법입니다. 앞뒤 진술이 논리적으로 모순된 '모순 형용'도 역설법에 포함됩니다. 

 

 

역설법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괴로웠던 사나이 / 행복한 예수 그리스도에게 ( 한 대상이 괴로우면서 행복하다는 것은 모순이지요)
남들은 자유를 사랑한다지만 나는 복종을 좋아하여요( 자유 보다 복종을 좋아한다는 것 역시 보편적으론 모순이지요)
찬란한 슬픔의 봄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역설법은 표현 자체가 논리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문장 안에 표현이 모순되기 때문입니다. 역설법을 사용하면 의미를 강조하고 인상깊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2 역설법, 반어법

 

위의 예시에서 보면 '~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다'는 역설법을 통해 죽음을 각오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강철로 된 무지개'는 강철과 무지개의 어울리지 않는 속성을 활용하여 부정적 상황(강철) 속에서 희망(무지개)을 품고 있는 화자의 현실 인식을 표현합니다. '외로운 눈부심' 역시 일종의 모순 형용으로 '네 이름(민주주의)'를 강조합니다.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 반어법

 

반어법은 표현하려는 뜻과 정반대로 표현하는 수사법입니다. 반어법은 표현 자체에는 모순이 없지만 표현이 이뤄지는 '상황'과 '표현' 사이에 모순이 있습니다. 반어법을 쓰면 일반적으로 진술했을 때보다 의미를 강조할 수 있습니다.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2 역설법, 반어법

 

'운수 좋은 날'은 현진건의 소설 제목입니다. 소설 속 인력거꾼 '김첨지'는 그날따라 돈을 많이 벌어 '운수'가 좋다고 생각하고 집에 오지만 그가 맞이 한 것은 이미 식어 버린 아내의 주검입니다. 이렇듯 상황(아내의 죽음)과 표현(운수 좋은 날) 사이 모순이 드러나는 것이 반어법입니다. 

 

 

'먼 훗날 그때에 잊었노라'라는 표현 역시 지금 잊지 못하고 있는 상황과 모순되는 반어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역설법과 반어법 구분 

 

실제 학교 국어 시험에서 역설법과 반어법을 구분하는 문제가 종종 출제됩니다. 역설법과 반어법을 구분하는 기준은 단 하나입니다. 

역설법은 표현에 모순이 있습니다. 즉 표현이 논리적으로 말이 안됩니다. 반면에 반어법은 표현 자체는 모순이 없습니다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2 역설법, 반어법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다'는 말 그대로 '눈물 흘리지 않겠다는' 것이니 표현에는 '모순'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별' 상황을 근거로 판단하면 헤어지고도 울지 않겠다고 하는 것이니 상황과 표현이 '모순'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반어법입니다. (다른 국어 필수 개념 보러가기)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알려 드려요(대구법, 설의법, 영탄법)

중,고등학교 때 국어에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국어 개념 정리 중요합니다. 국어 개념 정리는 문법뿐만 아니라 문학에서도 중요한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생들이 국어 공부할 때 반드시 알

jiwoo.gimreport.com

 

이상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역설법과 반어법 정리해 드렸습니다. 여러분들이 국어 개념 쌓아가는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