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국어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고등학교에 올라가는 학생들 입학 전 국어 공부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고민 있는 분들을 위해 고등 국어 공부법 알려 드립니다. 또 예비고1 학생들을 위한 문제집도 추천해 드릴게요
고등 국어 공부법 두 가지는 잡고 가야합니다.
'고등 국어'에서 좋은 결과를 얻으려면 국어과의 두 가지 영역이 중요합니다. 그것은 바로 문학과 독서(비문학)입니다. 물론 문학의 경우 중학교 때도 배웠지만 같은 작품을 바탕으로 시험을 보더라도 대체로 고등학교의 문제나 선택지 구성이 까다로워지기 마련입니다.
이런 상황을 잘 헤쳐나가려면 입학 전에 문학 공부, 이런 부분에 신경써야 합니다.
바로 개념 정리입니다. 문학 각 갈래별(시, 소설, 고전시가 등) 특징을 정확히 알아 두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갈래별로 자주 쓰이는 표현법 및 전개 방식도 정리합니다.
고등 국어 내신 및 수능에서 위에서 언급한 개념에 관한 문제가 반드시 출제됩니다. 이때 개념어(표현법)를 단순히 확인하는 방식이 아닌 개념이나 표현을 일반적인 서술로 풀어 제시한 후 학생들이 적용할 수 있는지 응용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다수입니다.
따라서 문학 갈래별 정확한 개념 정리를 하면서 주요 작품도 익히고 또 개념에 대한 응용력도 미리 연습해 두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독서(비문학) 영역에 익숙해져야 합니다. 독서(비문학)은 수능 국어에서 만나게 되는 영역입니다. 주제별로 제시문을 읽고 이를 바탕으로 제한된 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다양한 주제의 낯선 글을 읽고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영역이라서 학생들의 문해력 수준에 따라 결과가 크게 갈리기도 합니다. 최근 국어 영역 난이도 상승에 한 축이기도 합니다.
독서(비문학 영역)을 잘 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글 읽기가 중요한데 이전까지 책과 거리가 있던 학생들이 고등학생이 된다고 해서 갑자기 책을 읽을리는 만무할 것입니다. 따라서 그동안의 기출되었던 문제들을 꾸준히 읽고 풀면서 이와 같은 수준의 글과 문제에 익숙해지는 것이 우선입니다.
독서(비문학) 공부를 할 때 제일 중요한 것은 매일 시간과 양을 정해 꾸준히 하는 것입니다. 이것에 익숙해 지면 읽은 지문을 자기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재구성하면서 글의 구조나 전개 방식의 특징을 파악하는 공부를 해야 높은 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예비고1 문제집 추천 문학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중에 나와 있는 문제집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문학에서는 널리 알려진 '매 3 문' 시리즈 중에 예비고1을 위한 예비 매 3 문을 추천합니다.
매 3 문은 고1 수준의 모의고사 기출이 실려 있는데요 단순히 기출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갈래별 '제대로 공부법'도 함께 있어서 학생들 수준에 따라서는 스스로 공부할 때 활용하기도 좋습니다. (문제풀이 접근법, 구체적인 복습 방법 등도 수록 됨)
문학 영역에서는 '더 개념 블랙라벨 국어 문학'이라는 교재도 괜찮습니다. 이 책에는 작품 분석 원리 및 문학 개념 정리도 꼼꼼하게 수록되어 있습니다. 또 선택형 문제뿐만 아니라 OX 문제도 있어서 내용과 형식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예비고1 문제집 추천 독서(비문학)
독서 문제집도 우선 '매 3 비'를 추천합니다. 독서 공부의 기본인 꾸준함을 익히는데도 '매일 3 지문씩' 풀어야하는 구성이 도움이 됩니다. 또 문학과 마찬가지로 단순히 기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공부법'도 실려 있어 학생들이 비문학 공부 방향을 잡는데 좋습니다.
독서(비문학) 문제를 한 권 더 추천한다면 '수능 국어 독서 DNA 깨우기'를 추천합니다. 이 교재 시리즈 중 특히 1권 '배경지식' 교재는 다양한 주제의 비문학 기출을 읽을 때 도움이 되는 배경지식도 함께 정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비문학에 첫발을 내딛는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상 고등 국어 공부법과 예비고1을 위한 국어 문제집 추천해 드렸습니다. 국어 공부 방향을 잡고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세상을 사는 지혜(교육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2 역설법, 반어법 (0) | 2025.01.15 |
---|---|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알려 드려요(대구법, 설의법, 영탄법) (0) | 2025.01.14 |
초등 문해력 테스트 간단하게 해 보세요(무료 진단 사이트 소개) (1) | 2024.11.30 |
초등 문해력 공부법 꼭 알아야 할 것 세 가지 정리!!! (0) | 2024.08.26 |
초등 문해력, 기파랑문해원 레벨 및 프로그램 정보 정리 (0) | 2024.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