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사는 지혜(교육 문화)

국어 필수 개념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간단 정리

by jiwoose 2025. 1. 16.
반응형

중고등학교에 올라가서 국어를 잘 하려면 개념이 있어야 합니다. 문법뿐만 아니라 문학도 개념을 정리하는 공부가 중요한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국어 필수 개념 감정이입과 객관적 상관물 간단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국어 필수 개념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간단 정리

 

국어 필수 개념, 감정이입

 

'감정이입'은 문학 개념어 중 학생들이 많이 헷갈려 하는 개념 중 하나입니다. 수능이나 모의고사에서 자주 등장하지 않지만 국어 내신에서는 자주 나오는 개념입니다. 

 

 

감정이입이란 주로 운문 문학에서 화자가 자신의 정서를 다른 대상(사물, 자연물)에 반영하여 마치 그 대상이 감정인듯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작품 속에서 감정이입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표현에 등장하는 정서(감정)의 진짜 주체가 누구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국어 필수 개념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간단 정리

 

위의 감정이입 예시 중  '사슴의 무리도 슬피운다(김소월이 <초혼> 중)'를 보면 표면적으로는 사슴이 슬퍼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문맥을 고려한다면 '슬피운다'의 진짜 주체는 임의 죽음을  '화자'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어 필수 개념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간단 정리

 

이와 같이 '감정이입'은 화자의 정서를  특정 대상도 느끼는 것처럼 표현하여 화자의 정서를 더욱 심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국어 필수 개념, 객관적 상관물

 

객관적 상관물이란 작품 속에서 화자의 정서와 연관(같거나, 다른)되는 사물이나 자연물을 말합니다. 화자의 정서를 직접 표현하지 않고 사물 등을 이용하여 우회적으로 드러내는 표현 방법입니다. 

 

국어 필수 개념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간단 정리

 

위 왼쪽 예시 작품은 고대가요로 고구려의 유리왕이 썼다고 전해지는 황조가입니다. 위 시의 '꾀꼬리'는 혼자 돌아가야하는 화자의 외로움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는 즉 화자와 상황이 대립되는 객관적 상관물입니다. 또 오른쪽 작품은 규원가의 한 구절로 눈과 비는 화자의 외로운 처지를 더욱 심화시키는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감정이입과 객관적 상관물의 구분을 많이 어려워 하는데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객관적 상관물이 감정이입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정서 표현 없이 '화자'의 정서를 짐작할 수 있는 소재라면 객관적 상관물이고 '화자'의 정서가 대상에 투영되어 있으면 '감정이입'입니다. 

 

국어 필수 개념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간단 정리

 

이상 국어 필수 개념 객관적 상관물과 감정이입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드렸습니다. 다른 개념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 하시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국어 개념 차곡차곡 쌓고 반복해서 개념 찬 중고등학생되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국어 필수 개념 문학 표현법 정리#2 역설법, 반어법

국어 문학을 공부하다보면 다양한 표현법이 쓰였는지 확인하는 문제를 만나게 됩니다. 이때 작품에 두루 적용할 수 있는 표현법 개념이 자리잡혀 있어야 그와 같은 문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

jiwoo.gimreport.com

 

 

반응형

댓글